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오라클
- for문
- 트리거
- PARTITION BY
- 반복문
- 백준
- 집합 연산자
- rank
- 15552
- java
- 그룹함수
- 프로시저
- sql 예제
- 별찍기
- 무결성 제약 조건
- union
- 연결
- 서브쿼리
- SQL
- 조건문
- BufferedReader
- while
- join
- 데이터베이스
- 저장
- Sequence
- 단일행 함수
- 예제
- 이클립스
- BufferedWriter
Archives
- Today
- Total
control Y
[JSP] 서블릿 실행 순서 본문
서블릿 실행 순서
서블릿의 실행 순서를 이해하려면 loC라는 개념을 알아야 함
- MAIN() 메서드 안에 구현한 순서대로 실행.
- 즉 실행되는 순서를 개발자가 제어
- JAVA EE기반 프로그램은 개발자가 아닌 컨테이너가 제어한다.
- 개발자가 아닌 제 3자가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제어하는 것
- loC = 제어의 역전이라고 함
->우리가 개발할 서블릿도 여기에 속함.
따라서 JAVA EE 기반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는 먼저 컨테이너들이 프로그램을 어 떤 순서로 실행시키는지 알고
순서에 맞게 개발해야 함.
* 서블릿 컨테이너의 역할
- 웹 서버로부터 서블릿에 대한 요청이 들어오면 서블릿 컨테이너는 요청 정보를 이용해서 HttpServletRequest 객체와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생성하게 된다.
- HttpServletRequest 객체는 클라이언트의 요청 정보를 담고 있으며, HttpServletResponse 객체는 클라이언트로 전달될 응답객체를 나타낸다.
(1) 서블릿 객체 생성
용청 및 응답 객체를 생성
요청된 서블릿이 서블릿 컨테이너에 존재하는지 검사
서블릿 객체가 서블릿 컨테이너에 로딩되어 있다면 해당 서블릿 객체를 생성
서블릿 객체가 서블릿 컨테이너에 로딩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서블릿의 클래스 파일을 로딩한 수 객체 생성
(2) 서블릿의 실행
서블릿을 작성할 때 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아 서블릿에서 정의된 doGet() 이나 doPost() 메소드를 재정의함으로써 서블릿을 구현하게 된다.
* HttpServletRequest 메소드
- getParameter(name) > String 타입으로 반환 / 1개의 문자열을 받을 때 사용
- getParameterValues(name) > String 타입으로 반환 / 문자열을 배열로 받을 때 사용
* doGet() 방식
- url에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포함해 정보를 전달
- ? 이후의 값들을 서버에서 query_STRING을 통해 전달
- 속성 = 값 형태로 사용해야 하면 &은 여러 속성값을 전달할 때 연결해주는 문자열
- 브라우저에 직접적으로 url 입력
- a 태그로 정의
- from method = "get" 으로 정의
* doPost() 방식
- from method = "post" 으로 정의
* 응답 처리를 위한 코드 작성
메소드 | 기능 |
setConterntType(type) | 문자열 형태의 타입에 지정된 MIME 타입으로 ConterntType 설정 |
setHeader(name, value) | 문자열 name의 이름으로 문자열 value 값을 헤더로 설정 |
sedError(status, msg) | 오류 코드를 설정하고 메세지를 보낸다 |
sendRedirect(url) | 클라이언트 요청을 다른 페이지로 보낸다 |
1. 콜백 메서드
- 어떤 객체에서 상황이 발생하면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호출하여 실행하는 메서드를 의미
- 이런 콜백 메서드들이 서블릿을 실행.
- 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은 후 재정의한 init(), service()가 콜백 메서드에 속함.
- 이 메서드 들은 서블릿 객체에 어떤 상황(메서드)이 발생하면 호출
메서드명 | 메서드가 실행되는 시점 | 실행 횟수 | 기능 구현 |
init() | 클라이언트로부터 최초로 서블릿 요청이 있을 때 | 1 | 초기화 |
service() |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이 있을 때마다 실행 | n | 실제 서블릿이 처리해야 하는 작업 |
destroy() | 서블릿 객체가 메모리에서 삭제될 때 실행 (서비스나 서버 중지 시) |
1 | 지원 해재 작업 |
반응형
'KH정보교육원 > JSP 스프링 프레임 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P] 요일, 원의 면적, 합 구하기 (0) | 2023.07.07 |
---|---|
[JSP] 태그 종류 (0) | 2023.07.07 |
[JSP] 서블릿 매핑 (0) | 2023.07.05 |
[JSP] JSON으로 저장, 삭제, 유효성 검사 하기 (0) | 2023.07.05 |
JSP 클라이언트 / 서버 구조 (0) | 2023.07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