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ntrol Y

JSP 클라이언트 / 서버 구조 본문

KH정보교육원/JSP 스프링 프레임 워크

JSP 클라이언트 / 서버 구조

ControlY 2023. 7. 3. 17:23

JSP

  • sun 이 개발
  • jp는 html 태그 내에 자바소스 코드를 삽입하고 컴파일시켜 서블릿으로 변환
  • jsp는 자바 기반의 문법을 이용 / 어려운 자바 소스 대신 태그를 사용해 자바 객체 사용

웹 구조

-웹 브라우저가 있는 클라이언트가 자료를 요청(REQUEST) 하면, 웹 서버가 있는 서버는 요청에 응답(RESPONSE)

 

url : 웹 애플리케이션에 요청을 구분하기 위한 용동로 사용, 인터넷에 있는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규약

->구성 [프로코톨://[호스트][:포트][경로][파일명][.확장자]

애플리케이션 서버 방식

요청 > 웹서버 <->애플리케이션 서버 -> 프로그램1 / 프로그램2 / 프로그램3

 

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일한 페이지를 요청하여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처리할 때 1개의 프로세스만 할당 

사용자의 요청을 스레드 방식으로 처리

웹서버 > 애플리케이션 서버 > a프로그램 실행

 

* 메모리 사용량 및 프로세스 관리 부하 감소로 전체적인 처리량 높음.

서블릿(서버 측 자바프로그램)

  • 서블릿은 자바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
  • 서버에서 실행되면서 클라이언트 용청을 수락하고 그 요청에 맞는 동적응답을 생성
  • 자바 프로그램에 표현 부분인 html 코드를 모두 포함해야 하므로 로직처리와 디자인 처리를 분리하기 힘듦.

웹 애플리케이션

  • 웹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의미
  • 웹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현

웹 애플리케이션 구조

웹 브라우저(요청) <->(응답) 웹 서버 <->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<-> 데이터베이스

 

웹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요소

  • 웹브라우저 - 클라이언트, 사용자의 작업창
  • 웹 서버 - 웹 브라우저의 요청을 받아들이는 곳
  •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- 요청된 페이지의 로직 및 데이터 베이스와의 연동을 처리하는 부분
  • 데이터 베이스 - 데이터의 저장소

* 웹 서버에서 JSP를 실행시키려면 자바 모듈을 이해하는 엔진인 자바엔진(JSP 컨테이너)이 있어야 함.

 JSP 컨테이너 > JSP 프로그램은 하나의 서블릿 프래그램으로 변환

 

JSON 

  • 텍스트 기반의 데이터 교환 형식을 의미
  • 구문형식은 자바스크립트를 따르지만 언어로부터 완전히 독립적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프로그래밍언어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기법
  • 공식적인 인터넷 미디어 타입은 [ 어플리케이션/JSON ]이며 파일 이름 확장자는 .JSON
  •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하나의 객체 안에 함수와 변수를 함께 그룹화하여 포함시키기 위한 문법의 형태로서 JSON 표기법이 사용됨

JSP 운영환경

  • 운영하기 위해 웹서버와 JSP 엔진이 필요
  • 웹서버는 아파치, 톰캣 등을 사용
  • JSP 엔진으로는 JBoss, 톰캣,  Resin 등을 사용

* 아파치와 같은 웹서버를 사용한다면 jsp 엔진을 따로 설치해야 하지만,  톰캣 같은 경우는 자체에 웹 서버와   jsp엔진이 함께 있으므로 한 번의 설치로 jsp를 운영할 수 있다.

 

 

반응형